‘광주 예술로’ 파견지원 사업…예술인·기업·기관 의기투합
광주문화재단, 예술인 55명과 기업·기관 11곳 매칭 프로그램 선보여

광주지역 예술인과 기업·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흥미로운 협업 프로젝트에 나선다.
광주문화재단은 “예술인 파견 지원사업 ‘광주 예술로’를 본격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일신방직 여공을 주인공으로 한 기록전시, 5월의 역사를 품은 예술키트 제작, 예술인의 감각으로 새로워지는 병원 디자인, 운수 노동자의 미담을 담은 연극 등이다.
예술인의 가치를 확대하고 다양한 예술직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이 사업은 올해 2년째로 예술인 55명(리더예술인 11명, 참여예술인 44명)과 기업·관 11개소가 선정돼 매칭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선정기업·기관은 광주교통문화연수원,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 광주청년유니온, 김냇과,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썬에이치홀딩스, ㈜아트주, ㈜와사비아, 5·18기념재단, 티디엘, 원광대 광주한방병원 등이다. 교통·의료· 도시·청년·문화·역사 등 11곳으로 분야가 다양하다.
각 참여기업·기관에는 리더예술인 1명, 참여예술인 4명씩이 파견돼 예술협업 프로젝트에 나선다. 미술, 연극, 문학 등의 장르의 예술인들이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시도를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의 공간과 문화자원을 기록하고 활성화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는 김옥진(미술) 리더예술인 등과 함께 일신방직 여공과 양산시장 골목 상인들을 주인공으로 한 전시 혹은 퍼포먼스, 영상 기록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일신·전남방직과 양산시장 골목에 대한 리서치, 아카이브를 통한 주인공 설정, 가상의 인물과 실제 소녀였던 시절 상인의 이야기를 연결해 누군가의 꿈이 담긴 공간으로서의 기억을 함께 담아낸다.
복합문화공간 김냇과는 나리(음악) 리더예술인 등과 함께 김냇과가 위치한 대인동 주변 골목과 상인들의 추억을 예술로 되살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역사와 예술을 접목하는 프로젝트도 눈에 띈다. 5·18기념재단은 김선영(미술) 리더예술인 등과 함께 미래 세대와 공감할 수 있는 오월 관련 DIY키트 제작 및 5월 관련 장소 캠페인을 계획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는 주홍(미술) 리더예술인 등과 함께 5.18, 6·25, 일제강점기, 현재 진행형인 국가폭력과 장소를 연계한 장소 특정형 예술협업을 선보인다.
예술인을 위한 보다 나은 창작환경과 예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정립을 시도하는 활동도 포함됐다.
광주청년유니온은 장도국(연극) 리더예술인 및 참여예술인들과 함께 지역 청년 예술인들이 처한 노동환경과 활동과정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소모임을 진행한 뒤 공론장을 연다. 이를 토대로 지역 문화예술인 권리와 지위 보장을 위한 조례 제정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예술인의 창의성을 기업 이미지 개선과 연계한 프로젝트로에는 원광대 한방병원이 참여했다.
원광대 한방병원은 오래된 병원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조광식(영화) 리더예술인을 비롯한 미술, 만화 작가들과 함께 병원 홍보물과 버스, 재활치료실 등을 새롭게 디자인한다. 디자인업체 와사비아는 윤일석(미술·음악) 리더예술인 등과 함께 예술인들의 삶을 주제로 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예술인과 함께 하는 기업’ 이미지를 만들게 된다.
이밖에 광주교통문화연수원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교통문화 상황극 및 캠페인을 연극 작품으로 만들고, ㈜티디엘의 미디어아트, 썬에이치홀딩스의 아티스트 지원 및 교류행사, 아트주의 야외전시 프로젝트 등도 진행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025453&code=61121111&cp=nv